취약계층·장애인 지원금,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최대 52만 원 신청 방법

2025년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구: 민생회복지원금)을 통해 전 국민 및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최대 52만 원을 지원합니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에게는 차등 지급이 이뤄지며, 지역화폐·선불카드·포인트로 지급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돕습니다. 아래에서 신청 방법, 대상자, 금액, 사용처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1. 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이란?

2025년 2차 추경(10조 원 이상)에서 발표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 전 국민에게 15만 원을 지급하고,

  • 취약계층 및 소득 하위 90%에게 10만~35만 원 추가 지원을 통해 최대 52만 원까지 지급하는 정책입니다.
    현금 대신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카드 포인트 등으로 제공되며, 사용처는 전통시장·소상공인 업종 중심으로 제한됩니다.

2. 누가 얼마나 받나? (지원금액 기준)

대상 구분 1차 지급 2차 추가 지급 합계
전 국민 (기본 지급) 15만 원 10만 원(하위 90%) 최대 25만 원
차상위계층 30만 원 10만 원 최대 4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 40만 원 10만 원 최대 50만 원
장애인 (복지수급 포함 시) 동일 기준 동일 기준 최대 50만 원
인구감소지역 거주자 +2만 원 추가 최대 52만 원
2025년 2차 추경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기초수급자·차상위·장애인 등 취약계층 최대 52만 원 지원. 신청 방법, 대상, 사용처 정리.
민생회복 소비쿠폰 장애인 차상위계층 최대 52만원

3. 신청 대상 및 소득 기준

  • 2023년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소득 하위 90% 여부를 판단합니다.

    • 예: 직장가입자 월 27만 3,380원 초과 시 상위 10%로 분류, 추가 10만 원 제외.

  • 장애인의 경우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별도 증빙 없이 자동 포함됩니다.

4. 신청 방법 신청 일자

  • 온라인 신청: 정부24, 복지로, 카드사 앱, 지역화폐 플랫폼

  • 오프라인 신청: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방문

  • 신청 대상: 세대주 또는 법정 보호자 (대리 신청 가능)

  • 주의: 주민등록 주소 변경, 미성년 자녀 보호자 변경 등 예외 상황은 반드시 별도 신청 필요.

  • 1차 신청: 2025년 7월 21일(월) 09:00 ~ 9월 12일(금) 18:00

       첫 주(7/21~7/25)에는 출생연도 끝자리 요일제 적용

  • 2차 신청: 2025년 9월 22일(월) ~ 10월 31일(금)
  • 사용 기한: 1·2차 합산 지급분 모두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 가능

5. 지급 수단 및 사용처

  • 지급 방식: 지역사랑상품권(모바일·지류), 선불카드, 카드사 포인트

  • 사용 가능 업종: 전통시장, 슈퍼, 편의점, 음식점, 약국, 안경점, 학원, 일부 프랜차이즈(치킨, 빵집 등)

  • 사용 불가 업종: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몰, 홈쇼핑, 유흥업소, 사행성 업종

  • 유효 기간: 약 60일~120일 (미사용 시 소멸)

6. 장애인 지원 포함 여부

  • 장애인도 기초수급자 또는 차상위로 등록되어 있다면 동일 기준 적용으로 최대 50만 원까지 수령 가능.

  • 단, 고소득 또는 고자산 보유자의 경우 일부 제한될 수 있음.


7. 마무리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단순한 지원금을 넘어 지역 소비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계된 정책입니다.
지급 대상 여부와 신청 방법을 미리 확인하고, 사용 기한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2차 추경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기초수급자·차상위·장애인 등 취약계층 최대 52만 원 지원. 신청 방법, 대상, 사용처 정리.
민생회복 소비쿠폰 장애인 차상위계층 최대 52만원